분류 전체보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astable multivibrator)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astable multivibrator)이란, 외부 입력없이 양쪽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구형파을 출력하는 발진회로이다. 양쪽 출력단 모두 상태가 변화하는 비안정 상태에 있기 때문에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인 것이다.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해보자면, 트랜지스터 Q1의 Base단 또는 Q2의 Base단 중에 어느 것이 먼저 0.7V 이상의 값을 도달하는 것은 랜덤이다. 즉, Q1의 Collector 과 Emitter이 먼저 Short 될 수도 있고 Q2가 먼저 될수가 있다. Q1의 Base가 먼저 0.7V 이상의 값을 도달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Q1의 Collector과 Emitter는 Short 상태가 되어 R1을 통해 충전된 커패시터 C1의 전류는 GND를 통해 방전된다. 방.. 커패시터란? 커패시터란 콘덴서 축전기라고도 불리는 소자로 전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소자이다. 커패시터의 구조로는, 2개의 도체판 사이에 절연체(유전체, Dielectric)가 들어간 구조로 되어있다. 이 절연체는 전극판과 전극판 사이의 전기를 차단하고 전기를 담아두는 역할을 한다 (전압 충전). 커패시터는 어떤 재질의 절연체를 포함하느냐에 따라 커패시터의 종류가 나눠진다. 두 도체판 사이에 전압을 걸게되면, 음극에는 (-) 전하가 양극에는 (+) 전하가 유도되고 이로 인해 전기적 인력이 발생한다. 이 인력에 의해 전하들이 모여있게 되어 에너지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 때 모이는 전하량은 전압에 비례하게 된다. 커패시터가 전하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커패시턴스 혹은 정전용량이라고 하는데, 이 정전용량의 단위는 F(패.. 저항이란?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전기적 소자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 신호의 크기를 줄이거나 전압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저항이 하는 역할은 크게 4가지로 구분지을 수 있다. 1) 전류/전압 변환 2) 전압분배 : 전압강하,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전압이 분배된다. 3) 전류제한 : 저항값을 크게하고 전압이 일정하면 전류값을 조절 할 수 있다. 4) 풀업/풀다운 : 플로팅 현상 방지 옴의 법칙을 떠올려보자, 우선 옴(ohm)이란 바로 저항의 크기를 의미하고 기호로는 Ω로 표현한다. 옴의 법칙은 전류, 전압에 따른 저항의 크기 변화 법칙이다. 따라서 식으로 표현하자면, 저항(R) = 전압(V) / 전류(I) 로 나타낼수있고, 이 말은 저항값은 전압의 크기와 비례하고, 전류의 크기와는 반비례하다는 것이다. [.. 블로그를 시작하다. 마지막 학기를 앞두고 이제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한다. 좀 늦게 시작한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해보려고 한다. 현재 전자공학과를 다니고 있으며 석사 진학을 앞두고 있다. 내가 진학하려고 하는 연구실은 펌웨어 연구실이고, 앞으로는 이 분야에 대해 좀 더 깊게 공부를 할 생각이다. 파고 또 파고.. 파고들수록 어려운 학문이지만, 그것을 깨우치는 순간에는 아드레날린이 폭팔한다. 나는 회로에 젬병이라 회로에 대한 공부를 이제 다시 시작해보려고 한다. 수동소자들 부터 시작해서.. 회로분석을 하나하나씩 하면.. 언젠가 깨우침이 오지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나는 내 스스로 회로설계를 하는 것이 내 목표중 하나이다. 이 블로그는 내가 공부한 내용들을 기록하여, 나중에 내가 다시 찾아볼 수 있게 내용을 기록할 것 이다. 이전 1 다음